새로 나온 책
시리즈 소개
과학_권혁도 세밀화 그림책
과학_길벗어린이 과학그림책
과학_길벗어린이 자연·생태
과학_길벗어린이 지식 그림책
과학_사계절 생태놀이
과학_심플 사이언스
과학_초등 과학
만화_G.그래픽노블
만화_사이언스 코믹스
만화_사탕의 맛
만화_어린이를 위한 심리학
만화_체리의 다이어리
문학_고정순 그림책
문학_길벗어린이 문학
문학_길벗어린이 빅북
문학_길벗어린이 옛이야기
문학_길벗어린이 저학년 책방
문학_김영진 그림책
문학_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문학_둥둥아기그림책
문학_민들레 그림책
문학_보람그림책
문학_빨간 벽돌 유치원
문학_사노요코그림책
문학_신나는 책놀이
문학_에세이
문학_예술이된그림책,포스터북
문학_우리반 친구들
문학_인생 그림책
문학_작가앨범
문학_지원이와 병관이
아름드리미디어
예술·실용_길벗어린이 예술실용서
예술·실용_내가 처음 가 본 그림 박물관
예술·실용_내가 처음 만난 예술가
예술·실용_동요 그림책
지식·교양_길벗어린이 지식교양서
지식·교양_끼리끼리 재미있는 우리말 사전
지식·교양_라루스 어린이백과
지식·교양_재미있게 제대로
컴퓨팅사고력_헬로!CT
컴퓨팅사고력_헬로!CT(유아)
연령별 책 보기
교과과정별 책 보기
상 받은 책
추천 받은 책
저작권 수출 도서
Ȩ > å Ұ > ø Ұ > 문학_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 쇠를 먹는 불가사리
쇠를 먹는 불가사리
정하섭 / 그림 임연기 | 1998-11-25  
   
34 /  237 x 283mm /  13,000 / 초판
ISBN_13 9788986621440 /  KDC 813.8
ø 문학_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з 그림책, 문학
유아(4~6세), 초등 1~2학년(7~8세)
6차 유치원 교육과정>만 (5)6~7세>사회생활>사회 현상과 환경>우리 나라의 상징과 전통에 관심 가지기  
õ YMCA (추천도서) 
어린이도서연구회 (권장도서)
한우리 (권장도서) 
"깊은 산속 외딴 집에 홀로 사는 아주머니는 외로워서 이따금 인형을 만들었지. 하루는 밥풀을 뭉쳐 인형을 만들고, 인형에게 노래를 불러주었지.
""밥풀떼기 불가사리야. 너는 너는 자라서 쇠를 먹고 자라서 죽지 말고 자라서 모든 쇠를 먹어라 다 먹어 치워라.""
오랑캐의 침입을 막아 내고 백성을 구해내는 불가사리, 전쟁을 하려고 쇠로 무기를 만드는 사람들에게 불가사리가 얼마나 무서운 힘을 발휘하는지, 그 힘을 보세요. 칼이나 창, 활 같은 무기로는 불가사리를 죽일 수 없답니다. 몽땅 먹어버리거든요. 불가사리는 재앙을 막아주는 수호신이며,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몸을 바칠 줄 아는 착한 동물이에요. "
"<상상의 동물> 시리즈는 우리 옛이야기 속에 나타나는 상상의 동물들을 화려한 일러스트와 함께 재현하고 있습니다. 그림책으로 되살아난 상상의 동물들은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북돋아주고, 정의를 일깨우며, 꿈을 지켜주지요.
불가사리는 고려 말 송도에 나타나 온갖 쇠를 다 먹어치우고 조선이 세워지면서 사라졌다는 상상의 동물입니다. 불가사리는 어떤 무기로도 죽일 수 없다고 해서 불가사리(不可殺伊)라는 이름이 붙었대요. 사람들은 불가사리를 무척 좋아했는데, 불가사리가 나쁜 꿈을 물리치고 병이 들어오는 걸 막아준다고 믿었기 때문이지요.
<쇠를 먹는 불가사리>는 우리 민족의 수호신인 불가사리를 재미난 이야기와 힘찬 느낌의 그림으로 되살려낸 책입니다. "
글 : 정하섭

1966년 충북 음성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공부했습니다. 출판사에서 어린이 책을 만들다가 지금은 어린이 책을 기획하고 글을 쓰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림책 《해치와 괴물 사형제》, 《쇠를 먹는 불가사리》, 《청룡과 흑룡》,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 《자린고비》, 《오늘이》, 《열두 띠 이야기》, 《나무는 알고 있지》와 동화책 《삼신 할머니와 아이들》, 《열 살이에요》등 여러 어린이 책에 글을 썼습니다.

그림 : 임연기

1962년 전북 김제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했어요. 그림마당 민에서 개인전(1991년)을 가진 바 있으며, 조국의 산하전, 광복 50주년 기념전 등 여러 단체전시회에 출품한 바 있습니다.

<서천석의 내가 사랑한 그림책 - 부모가 던지는 감정을 먹으며 아이들은 자란다> 광주일보, 2015-06-04
산골 외딴집에 아이들과 남편을 전쟁에서 잃은 여자가 살고 있었다. 그 여자는 먹다 남은 밥풀을 비벼 작은 인형을 만들었다. 그리고 노래를 불렀다. ‘불가사리야. 너는 쇠를 먹고 자라서, 죽지 말고 자라서, 모든 쇠를 먹어치워라.’ 쇠로 만든 창과 칼에 가족을 잃은 한이 서린 노래였을 것이다.…
[바로가기☞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694358.html]

"쇠붙이 먹는 착한 불가사리
밥이나 돈을 마구 삼키는 사람을 `송도 말년 불가사리 같다`고 한다. 고려 말 불가사리라는 괴물이 나타나 온갖 쇠를 다 먹어치우다 조선 개국 뒤 사라졌다는 설화에서 따온 말이다.
<쇠를 먹는 불가사리>는 이 설화에서 소재를 얻어 불가사리를 전쟁을 반대하고 인연을 소중히 여기는 `착한 괴물`로 그러냈다. 전쟁통에 남편과 자식을 잃은 홀어미가 밥풀로 만든 불가사리는 쇠붙이를 먹으면서 자라나 오랑캐가 쳐들어오자 무기를 먹어치워 오랑캐를 물리친다.
--한겨레 어린이책, 1999, 1. 9.

전쟁 통에 남편과 자식을 잃은 홀어미가 밥풀로 만든 인형인 불가사리가 쇠붙이를 먹으면서 자라나 쳐들어 온 오랑캐를 물리친다는 이야기. 불가사리는 고려 말 개성에서 나타나 쇠를 먹어치우고 다니다 조선 건국 후 사라졌다는 상상의 동물. 작가는 이 불가사리의 이야기를 같은 이름의 북한 영화의 해석을 충실히 따라 다시 그려냈다.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2001. 6. 1.

선조들의 소망 담긴 상상 속의 동물 그려

길벗어린이 출판사는 우리 선조들이 삶의 소망을 담아서 지어낸 상상 속의 동물들을 그림책으로 만들어오고 있다. 첫 권은 괴물로부터 해를 지켜내는 ‘해치’ 이야기를 담은 『해치와 괴물 사형제』였다. 이번에 새로 나온 둘째 권은 『쇠를 먹는 불가사리』다.

불가사리는 고려가 망해갈 무렵 고려의 서울이었던 송도(개성)에 나타나 온갖 쇠를 먹어치우고 다니다가 조선이 세워지면서 사라졌다는 상상의 동물이다. 불가사리의 생김새는 보통 코끼리 몸에 소의 발, 곰의 목에 사자 턱, 뱀의 얼굴에 물소 입, 말의 머리에 기린의 꼬리를 단 모습이라고 한다. 불가사리는 칼이나 창, 활과 같은 무기로는 죽일 수가 없었다. ‘불가사리’라는 이름의 바탕이 된 한자어 ‘불가살이’는 죽일 수 없는 동물이라는 뜻.

불가사리는 예로부터 나쁜 병과 재앙으로부터 사람을 지켜준다고 하여 굴뚝에 그려지기도 했다. 이 책에서는 불가사리가 인간이 서로 싸우는 전쟁을 막고 자신을 만든 아주머니가 위태로워지자 목숨을 바쳐 구해낸다.

불가사리 이야기는 깊은 산골 외딴 집에 혼자 살았던 한 아주머니로부터 시작한다. 이 아주머니는 전쟁 때 남편과 아이들을 잃었다. 그래서 쇠를 몹시 싫어했다. 칼이나 창은 모두 쇠로 만들기 때문이다. 아주머니는 외로울 때면 이따금 인형을 만들었는데 하루는 밥풀을 뭉쳐서 작은 인형을 만들고 이름을 불가사리라고 지었다. 이 불가사리는 생물처럼 살아나더니 아주머니의 바늘을 먹기 시작한다.

화가 임연기 씨가 불가사리의 모습을 시원스럽고 생동감 있게 그려 읽는 맛을 더한다. 초등학교 1학년생들이 읽기에 알맞다.
--- 소년동아일보 권기태 기자 (1999년 1월 16일)

쇠먹는 '착한 괴물' 세상엔 평화각 살쪄
지난주 봄빛이 흐드러지는 지리산 화엄사에 들렀는데, 탑 앞에서 합장하고 무언가 비는 사람들이 자주 보였다. 대부분 아주머니들이었다. 그 모습을 보며 문득 '전세계 수많은 어머니들의 소망은 무엇일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중 하나는 바로 전쟁이 일어나지 않게 해달라는 것 아닐까? 인류사에서 전쟁만큼 어머니들 가슴을 찢어지게 한 것은 없을 테니까.
전쟁 무기가 싫은 어머니는 끼니마다 조금씩 남긴 밥풀을 손으로 주무르고 주물러서 작은 인형을 하나 만들었다. 그리고 손바닥에 올려놓고 노래를 부렀지. ""밥풀떼기 불가사리야, 너는 너는 자라서 쇠를 먹고 자라서 죽지 말고 자라서 모든 쇠를 먹어라 다 먹어 치워라.""
이렇게 해서 쇠를 먹는 불가사리가 태어난다. 그리고 전쟁 무기를 만드는 쇠를 먹으면서 자라기 시작했다. 불가사리는 쇠만 먹었지 사람들은 해치지 않았기 때문에 모두 좋아했지만, 사람들을 억누르고 다스리는 임금은 불가사리가 자기 자리를 빼앗을까 겁이 나서 죽이려고 한다.
이 이야기는 고려 말에 송도에 나타나서 온갖 쇠를 다 먹어치우다 사라졌다는 불가사리 이야기를 새롭게 다듬어 쓴 것이다. 내가 어릴 때 이 불가사리 이야기를 듣고 나도 만들어보고 싶어 몰래 밥 한숟가락 퍼서 뒷동산에 올라가 조물락거리던 추억이 되살아난다. 이 땅의 많은 어머니들이 불가사리 이야기를 어린아이들한테 소곤소곤 들려주고, 같이 상상의 동물을 만들면서 이 책 앞과 끝에 나오는 노래를 불러보자. 평화를 불러오는 마음으로.
--- 한겨레 이주영(서울삼전초등학교 교사),(2003년 4월 21일)
"

고려 시대 설화인데 인물들의 의상은 조선..... l 길벗어린이 l 10647
저희 책은 꼼꼼히 살펴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의문나는 점이나 잘못된 점이 있다면 바로 홈페이지에 글을 올려주십시요. 최대한 성의있게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책에 나오는 의복은 몇가지로 정리를 할 수 있습니다.
주인공 아주머니의 비녀,
임금의 옷
주민들의 옷
주민들이 쓰고 있는 갓
그리고 오랑캐의 옷(이건 별루 중요하지 않겠지요)

불가사리가 논픽션이 아니기 때문에 작가적 상상력이 포함되다 보면 다큐멘터리나 생활사 박물관 같은 책과 같이 완전한 고증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책은 아닙니다.
하지만 작가분께서 상당한 고증을 통해 고려시대의 옷에 가깝게 그리신 흔적이 여기저기 있는 책입니다.

첫번째- 아주머니의 비녀
비녀는 언제부터 그런 모양을 쓰기 시작했는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고려말 공민왕이 원나라의 의복을 타파하고 새로운 의복을 권장하던 시기에는 그런 모양의 비녀를 사용했습니다. (아주 세세한 문양까지는 정확히 모르겠네요.)

아주머니의 옷
고려 시대의 복장의특징은 조선시대의 그것보다 소매가 좁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자제히 보시면 아주머니의 옷소매가 흔히 보는 한복(조선시대)에 비해 소매가 매우 좁은 것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작가분이 신경을 쓰신 흔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임금의 옷
공양왕이 원나라의 의복을 타파하면 제일 먼저 바꾼 의복이 왕의 의복이었습니다. 따라서 공양왕의 의복은 조선시대 임금의 의복에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렇게 이해를 하시면 임금의 의복은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주민들의 옷
이 또한 아주머니의 옷에 비추어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주민들의 갓과 점쟁이의 갓
저희가 흔히 알고 있는 양반의 갓(흑립)은 평량자-> 초립 ->흑립이라는 이름으로 발전을 했습니다. 초립은 고려 말 정도에 사용이 되었고, 흑립과 모양이 거의 유사하지만, 흑립에 비해서 챙(?)이 좁은 특징이 있습니다. 점쟁이의 갓은 초립정도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타 주민들의 갓은 원나라의 복색이 들어오기는 했지만 실제로 원나라 복색과는 무관하게 사는 고려인들이 있었고, 고려 말 공양왕의 지시로 원나라 복색이 타파되면서 조선 초 복색과 거의 유사한 복색으로 살게 되었습니다.

자료를 조사하고 아는데로 답글을 썼는데 미흡한 점이 없을까 걱정이 됩니다. 미흡한 점이 있다면 바로 연락을 주십시오

고려 시대 설화인데 인물들의 의상은 조선..... l 김난숙 l 753
그림에 강렬함 때문인지 우리 아들 녀석이 좋아 하는 책입니다
그런데 자주 읽어주다 보니 의구심이 드는 부분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맨 뒤부분에 보면 불가사리 시대적 배경이 고려 말로 나오더군요 제가 알기론 이 설화에는 신돈이라는 실지 인물이 배경이 되는 거로 알고 있는데 설화라는 특성상 출판사에 의도상 실지 인물은 배제 할 수 있다 해도 책에 나오는 인물들의 의상은 해설에 나오는 시대에 맞게 그렸어야 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불가사리는 왜 쇠를 먹었을까 l 박석향 l 16366
<쇠를 먹는 불가사리>는 전쟁때 남편과 자식을 잃은, 깊은 산골 외딴집에 혼자 사는 아주머니가 밥풀을 뭉쳐 만든 인형이 있었는데 그 작은 인형의 이름은 불가사리로 쇠붙이를 먹으면서 자라나, 후에 쳐들어 온 오랑캐를 물리친다는 이야기로 힘찬 터치의 유화풍의 그림이 불가사리의 전설과 잘 어울려 웅장하고, 생동감을 더한다.

나쁜 꿈을 물리치고 병이 들어오는 걸 막아준다며 굴뚝에 그 모습을 새기기도 했던 불가사리는 고려가 망해 갈 즈음 고려의 서울이었던 송도에 나타나 온갖 쇠를 다 먹어치우고 다니다가 조선이 세워지면서 사라졌다는 상상의 동물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불가사리는 다른 어떤 것도 아닌 쇠를 왜 먹었을까?
불가사리를 만든 아주머니가 전쟁으로 인해 가족을 모두 잃은 점을 보면, 이 작은 인형에 다시는 전쟁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하는 아주머니의 간절한 염원이 담겨져 있어 전쟁무기의 주원료인 쇠붙이를 모조리 먹어치우는 것이다.

그러나 이름처럼 죽일 수 없는 동물인 不可殺伊는 아이러니하게도 불로 녹여서 잡을 수 있는 불(火)可殺伊였다. 쇠를 먹으며 전쟁을 반대하고 평화를 원했음에도 권력쟁취를 위해 또다시 전쟁을 일으키는 무리들에 의해 불가사리는 사라진 듯 보였인다. 하지만 어딘가에 살아 있어 언젠가 꼭 돌아올거라는 사람들의 믿음을 통해 다시 이름처럼 영원불멸의 존재인 불가사리가 된다.

쇠만 먹었지 사람은 해치지 않았고, 자신을 길러준 아주머니를 구하기 위해 불가사리 몸에 불길에 흘러내리는데도 자기 몸을 내던져 구해낸 이 괴물에게 휴머니즘 마저 느껴진다.
또하나 이 이야기 속에서 권력을 가진 사람들(임금)의 속성도 엿보게 된다.
권력을 가진 사람들 중에는 자기보다 더 큰 권력을 가진 존재(여기서는 불가사리)를 두려워하여 제거하려 하고, 그 제거방법은 정당한 방법이 아닌 흉계 또는 간계를 이용한다는 점이다. 상상의 동물인 불가사리 이야기 속에서 많은 현실과 세상의 모습들이 오버랩이 된다. 아주머니가 조용히 노래를 읊조리며 밥풀을 뭉쳐 인형을 만드는 그 마음으로 나도 한번 나즈막히 노래를 불러본다.

밥풀떼기 불가사리야
너는 너는 자라서
쇠를 먹고 자라서
죽지 말고 자라서
모든 쇠를 먹어라
다 먹어 치워라

̢ źϷ 45 Ÿ񿣾. 2F()
ȭ 02-6353-3700 ѽ 02-6353-3702 :webmaster@gilbutkid.co.kr
Copyright © ̢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