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연한 기회로 서당에 오게 된 강아지 '삼년이'는 매일매일 아이들의 글 읽는 소리를 들으며 언젠가 시를 읊게 될 그 날을 고대합니다. 스스로 좋아하는 일을 찾고 노력과 끈기로 꿈을 이룬 강아지 '삼년이' 의 이야기를 만나보세요. 널리 알려진 '서당 개 삼 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는 속담에 작가의 상상력이 더해져 만들어진 그림책입니다. |
글 읽는 소리를 좋아하던 삼년이, 마침내 시를 읊다 옛날 어느 마을에 훈장님이 살았는데, 벼슬을 못 해서 모든 일에 시큰둥했지요. 어느 날, 스님이 훈장님에게 버려진 강아지를 맡기면서 삼 년만 기르면 틀림없이 복을 받을 거라고 말합니다. 훈장님은 그 말에 솔깃해서 강아지를 받고 ‘삼년이’라고 이름 지었어요. 하지만 삼 년이 지나도 좋은 일이 생기지 않자, 훈장님은 삼년이를 개장수에게 팔겠다고 하지요. 그 말을 듣고 삼년이는 시무룩해집니다. 마치 훈장님의 말을 알아들은 것처럼요. 사실, 삼년이는 이미 아이들이 글 읽는 소리를 따라 하고 시도 읊을 수 있었어요. 삼 년 동안 날마다 되풀이해 듣다 보니 스스로 깨치게 된 거지요. 어느 날 아이들이 시를 못 외우자 훈장님이 말합니다. “삼 년이나 배웠으면 저 밖에 있는 삼년이도 알겠다.” 그러자 삼년이는 기다렸다는 듯 “동창이 밝았느냐.” 하고 시를 읊습니다. 훈장님은 개에게 시를 가르쳤다며 유명해졌지요. 바라고 노력하면 꿈을 이룰 수 있어요 삼년이는 서당에서 삼 년을 지내고 시를 읊었어요. 하지만 서당에서 삼 년을 지낸 개가 모두 시를 읊을 수 있는 것은 아니지요. 삼년이는 아이들이 글 읽는 소리를 참 좋아했어요. 훈장님한테 시끄럽다며 혼이 나도 자꾸만 따라 했고요. 삼년이는 좋아하는 일을 매일같이 꾸준히 노력하면 무슨 일이든 해낼 수 있다는 걸 보여 줍니다. 삼년이를 보고 훈장님도 깨달음을 얻지요. 자기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면 복은 저절로 찾아온다는 것을요. 삼년이를 보면서 아이들이 스스로 좋아하는 일을 찾고, 노력과 끈기로 꿈을 이루기를 바랍니다.
누구나 아는 속담에 그럴듯한 상상력이 더해진 유쾌하고 훈훈한 이야기 이 책《서당 개 삼년이》는 ‘서당 개 삼 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는 널리 알려진 속담에 작가가 상상력을 발휘해 만든 이야기입니다. ‘서당 개’의 이름을 ‘삼년이’라고 지은 발상이 재치 있고 기발하지요. 마치 옛이야기에 나오는 인물처럼 느껴지기도 하고요. 작가는 이 이야기를 “옛날 어느 마을에”로 시작하는 서두부터 “오로지 삼년이 말고는 개가 시를 읊었다는 이야기는 아직까지 듣지 못했어.” 하는 결말까지 완전한 옛날이야기로 마무리합니다. 본래 속담이 담고 있는 교훈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자연스럽게 암시함으로써 아이들이 이야기를 충분히 즐기고 공감할 수 있게 한 것이지요. 그저 당연하고 빤해 보이는 속담을 생기 넘치고 유쾌한 이야기로 바꿔 낸 작가의 솜씨가 돋보입니다.  개성적인 캐릭터와 천진한 분위기를 잘 나타낸 그림 밝은 그림이 유쾌하고 따뜻한 이야기 분위기를 더욱 살려 줍니다. 훈장님의 시큰둥한 표정, 삼년이의 귀엽고 영리한 모습, 서당 아이들의 천진난만한 행동이 개성적으로 잘 표현되었어요. 특히 삼년이의 표정과 행동을 보는 것만으로도 그 마음을 알아챌 수 있을 만큼 삼년이의 모습이 생생하지요. 삼년이가 아이들과 함께 서당에 앉아 소리 높여 글을 읽는 모습은 아주 익살스럽습니다. 삼년이가 서당 밖에서 아이들이 글 읽는 소리를 듣거나 시를 읊을 때의 표정에서 글을 아는 삼년이의 만족감이 잘 전해지고요. 이 책을 읽는 아이들도 삼년이의 즐거움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