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 Event

공지사항 / 이벤트

[신간안내] 손톱 깨물기

등록일 2008-04-24





























손톱 깨물기
고대영l 그림 김영진 l 발행일 2008년 4월 25일








『지하철을 타고서』의 지원이와 병관이, 그 세 번째 이야기!


동생 손을 꼭 잡고 지하철을 탔던 듬직한 누나 지원이와 천방지축 동생 병관이를 주인공으로 한 또 한 권의 그림책이 출간되었습니다. 일상 속 생생한 에피소드를 포착, 발랄하고 재치있는 그림으로 담아 내 많은 어린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고대영-김영진 작가의 안정된 호흡이 한층 돋보이는 『손톱 깨물기』. 2006년 봄 『지하철을 타고서』와 2007년 봄 『용돈 주세요』에 이어 일 년 만에 다시 만나는 지원이와 병관이의 새로운 이야기를 담은 그림책을 소개합니다.












그림책 『손톱 깨물기』는 지원이와 병관이가 손톱을 깨무는 버릇을 갖게 된 이유와 이 버릇을 함께 고쳐가는 과정을 재미있게 그려낸 책입니다.


두근두근 마음 여린 지원이와 귀여운 따라쟁이 병관이

아침 식탁, 좋아하는 소시지 앞에서 지원이가 멈칫합니다. 혹시 살이 찌지 않았나 싶은 생각에서에요. 함께 밥을 먹던 동생 병관이도, 급식 시간에는 짝꿍마저도 지원이를 놀리지요. 밥맛이 달아난 지원이는 그대로 식판을 갖다 놓고, 이 모습을 본 선생님께 음식을 남겼다고 꾸지람을 듣지요. 이렇게 의기소침, 속상한 마음에 지원이는 손톱을 깨물기 시작합니다.

한두 번 손톱을 깨문 것이 어느덧 버릇이 되어 버린 지원이. 수학 시간에 문제를 풀다가 자기도 모르게 손톱을 깨물고 있다는 사실에 깜짝 놀라, 빨간약을 바르고 엄마에게 검사를 받기로 한답니다. 하지만 나쁜 버릇은 하루아침에 고쳐지지 않는 법. 엄마는 다시 일주일이라는 시간을 주고, 손톱을 잘 기르면 갖고 싶어하는 색연필을 사주겠다고 차근차근 말씀해 주십니다.

혼이 날 줄 알았는데, 오히려 누나가 선물을 받게 된다니요! 문밖에서 대화를 듣던 병관이는 샘이 납니다. 새로 나온 블록을 갖고 싶은 마음에 병관이도 누나처럼 손톱을 깨물어 봅니다. 엉뚱하고 순진한, 아이다운 생각에서 시작한 손톱 깨물기는 어느덧 병관이에게도 버릇이 되지요.

이 모습을 본 엄마는 병관이를 따끔하게 야단치십니다. 이어서 병관이의 마음을 다독여 주시지요. 다시 일주일 동안 함께 나쁜 버릇을 고쳐가는 지원이와 병관이. 약속대로 선물 받은 색연필과 블록을 가지고 놀면서 둘은 함께 손톱 깨무는 버릇을 서서히 고쳐 갑니다.

서로 다른 마음, 다른 상황에서 같은 버릇을 가지게 되는 이 이야기에서는 지원이와 병관이의 성격이 한층 더 뚜렷해집니다. 앞서 출간된 『지하철을 타고서』에서 느긋하기만 한 동생을 데리고 긴장된 마음으로 짧은 지하철 여행을 했던 떨리는 지원이의 마음이 잘 드러났고, 『용돈 주세요』에서 용돈을 받기 위해 깜찍한 꾀를 낸 사랑스러운 병관이의 모습이 재치있게 그려졌다면, 이번 그림책에서는 두근두근 여린 지원이의 마음결이 섬세하게, 병관이의 개구지고 아이다운 순수함이 발랄하게 함께 그려지고 있지요.



우리 아이들의 생활이 그대로 담긴 생활 그림책

그림책 『손톱 깨물기』에서는 앞서 출간된 두 권의 책에서처럼 요즘을 살아가는 우리 주변의 아이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살이 찔까 봐 걱정하는 모습, 선생님 앞에서 의기소침한 모습이나 수학 시간 초조한 마음을 담은 장면에서 이 책을 읽는 아이들은 지원이의 마음을 단박에 알고 자신의 일처럼 쉽게 동화됩니다. 손톱을 깨물어서 선물을 받아야겠다는 엉뚱하고 순진한 생각에 이어, 블록으로 쌓은 성에 갇힌 엄마와 누나를 구하는 기사가 된 신나는 상상에 활짝 웃고 있는 병관이의 모습도 그렇고요.

그림작가는 『지하철을 타고서』에서 지하철, 『용돈 주세요』에서 마트를 그려 냈듯이, 이번에는 교실과 아파트, 학교 가는 길을 세세하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이야기가 흐르면서 지원이와 병관이의 움직임을 따라 자연스럽게, 아이들의 일상생활 공간이 그림책 속으로 들어온 경우지요. 배경을 세세하고 사실적이며,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김영진 작가의 특성과 맞물려 교실 안 풍경이나 학교 앞 문방구 등 공간이 더욱 생생하게 느껴집니다.



패러디와 숨은 그림 찾기로 만나는 그림책 보기의 즐거움

『손톱 깨물기』에서 그림 작가는 때로는 널리 알려진 화가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패러디하면서 인상적인 장면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수학 문제를 푸는 지원이의 모습은 에셔의 작품 <에셔,상대성Relativity, 1953> 을 패러디한 것입니다. 실제로 있을 수 없는, 불가능한 공간 속에서 오르내리는 사람들의 모습처럼 지원이의 마음도 미궁에 빠져 있지요. 에셔 작품의 이미지를 살려 지원이의 불안하고 답답한 심리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첫 장면에서 마지막 장면까지 장면마다 슬쩍 숨겨 놓은 펭귄과 양을 찾아보는 것도 재미있습니다. 아이들에게 ‘그림책 보기의 즐거움’을 전하고 싶어서 마련했다는 이 장치에서도 그림 작가의 재치가 잘 드러나지요. 숨어 있는 캐릭터 찾기는 앞서 출간된 두 권의 책에서도 아이들이 매우 재미있어 했던 장치이기도 하답니다.












글 고대영

『지하철을 타고서』, 『용돈 주세요』,『아빠와 아들』의 글을 썼습니다. 아이들이 실제 경험하는 공간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담아내는 글 작업으로, 독자들과 ‘우리집 이야기’인 듯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소소한 일상 속에서 함께 즐기고 생각해 볼 만한 주제들을 포착, 재미있는 에피소드에 담아냅니다. 섬세한 관찰력과 따뜻한 시선이 강점. 객관적인 기준으로 가지고 책의 전체적인 흐름을 조율하는 그림책 편집자로서의 오랜 경험을 살려,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작업을 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그림 김영진

글작가와 함께 『지하철을 타고서』, 『용돈 주세요』작업을 했습니다. 이 외에도 『노래하는 볼돼지』에 글과 그림을,『마법에 빠진 말썽꾸러기』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과장된 표정과 동작을 적절하게 사용해 등장인물을 캐릭터화 하는 데 탁월합니다. 일상 속 익숙한 공간인 지하철, 마트, 집안 풍경, 교실 등을 세밀하게 표현해 주목도를 높입니다. 숨어 있는 캐릭터 찾기에서 엿보이는 재치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길벗어린이 유튜브 길벗어린이 인스타그램 카카오톡채널 페이스북 네이버포스트 오픈마켓